전기 철도의 변전방식 중 급전용 변압기는 직류가 교류 중 어느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지요?
2022.06.16 하늘바람 조회 1,403

전기 철도의 변전 방식 중 급전용 변압기는 직류, 교류가 있습니다.

직류는 3상정류기용 변압기을 사용하고, 교류는 스코트 결선 변압기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변전소의 운영을 위해서는 시공성, 내구성, 효율성, 친환경성, 안정성 및 경제성 등을 고려해서 선정되는데,

직류와 교류 중 어느 것을 사용하는 것이 나은지요?



댓글 /1000
답변 1개
동달님의 답변입니다.
초수 채택 3 2022-06-17 14:50
합격자

두가지 모두 장단점이 있습니다.


직류방식을 사용하면 절연이 용이하고 전자유도장해가 없고 활선작업이 용이하며

직류 직권 전동기 특성은 전철용으로 적합해서 우리나라 지하철에 DC 1500V 방식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정류장치로 인해 변전소 건설비와 전압이 낮고 전류가 커져 급전선, 전차선의 건설비가 높으며

전압강하를 방지하기 위해 변전소 수를 증가하여야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교류방식은 직류에 비해 집전전류가 작아 고속운전이 가능하며 사고시 계전기 동작이 확실하며

변전소 간격이 크게할 수 있어 건설비가 감소된다는 장점이 있어 현재 KTX 경부선으로 단상AC 25kV 60Hz AT방식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절연비가 고가이며 차량내에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변압기가 있어야하므로 차량이 복잡하며

또한 통신선로에 대한 유도장해가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전기기사/기능사 > 필기’ 분야 답변을 기다리는 질문
비슷한 질문을 더 준비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