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실기 구조 강의 듣는중인데
위의 1번문제는 Et값에 순인장변형률Et=0.004라고 되있는데 인장지배변형률한계값0.005을 대입하시고
밑에 문제는 Et값을 구해서 대입하는데 어떤차이가 있는건지를 모르겠습니다.. ㅠㅠ
위쪽이 틀렸습니다. 1번문제에서 0.004 대입하는게 맞습니다.
위쪽식 0.005 대입해서 계산하면 강도감소계수 0.85 나옵니다. 인장지배단면 강도감소 계수와 똑같죠. 0.004대입해서 계산기 돌려보면 0.783333...나옵니다. 0.004 대입하는게 맞습니다. 아마 강의에서 0.005 대입한거 같은데 강의내용 하나하나 살펴보면 틀린거 꽤 많습니다. 체감상 강의 1개당 1,2개는 무조건 이상하게푸시거나 더 어렵게 풉니다. 강사분들도 사람이시다 보니 틀리게 적을 수도 있고 실수하는건 당연한겁니다. 저는 대부분 이상하다고 느끼는것들은 계산기 한번 돌려보면 정답 찾는경우가 많았습니다. 이상하다고 생각되시면 계산기 한번 먼저 돌려서 정답을 찾아보세요. 또, 공식들이 왜 그렇게 유도가 되는지 본인방법으로 한번 유도하고 이해해보세요 . 강의내용과 다른 풀이로 정답에 도달해도 그걸 실기시험에서 잘 써내려만 갈 수 있다면 강의내용에 집착하지 않아도 됩니다.
예를들어 지금 나온 1번식의 변화구간단면의 강도감소 계수식 (0.65+(Et-0.002)x200/3) 은 압축지배단면 (Et=0.002, 강도감소계수 0.65)과 인장지배단면(Et= 0.005,강도감소계수 0.85) 사이의 변화구간단면의 Et에 따라 강도감소계수가 선형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유도된 식입니다.(선형으로 변한다고 강의 에서 말해줬습니다.) 따라서 기울기가 200/3이고 (0.002,0.65)의 좌표를 지나는 일차함수식과 강도감소 계수식은 완전히 동일합니다. 일차함수식은 중등수학수준이기때문에 이렇게 이해하면 직관적이고 더 쉽죠. 저는 이렇게 이해해 놔서 저식 딱히 외우지도 않았고 질문자님 질문을 봐도 어디가 잘못 됐는지 바로 찾을 수도 있었습니다. 이해 안되는 식은 한번 유도해 보면 좋습니다. 생각보다 안해봐서 그렇지 쉽습니다. 열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