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에서 변압기에 걸리는 용량을 구했는데
예를들어
(1)
(2)
(3)
이렇게 소문제가 3개가 있으면
(1)번 문제가 `변압기 용량을 선정하시오` 라서
실제 계산해보니 281.22~~ kVA가 나왔으면
300kVA로 답을 쓰잖아요
그런데 (2)번에서 요구하는 문제가 과부하율 구하기 라던가 전류를 구하는 거라는 등등 앞에서 계산한 변압기 용량을 써야하는 문제라면
앞에서 표준용량을 선정했으니 300kVA를 계산식에 넣어서 계산해야 할까요? 아니면 실제 계산해서 답이나온 281.22~kva를 넣는게 맞을까요?
과부하나 전류를 구하는 소문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281.22kVA를 대입하시고 계산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하지만 그런식으로 소문제 3개가 나오는 곳에서 굳이 변압기 용량을 대입해야 하는 문제가 다음문제라면 일반적으로 용량을 구하시오 라고 출제 됩니다.
질문자님이 언급하신대로 소문제 별로 변압기 용량 선정을 하지만 그 다음 소문제에서 변압기 계산값으로 대입하는 문제 중 대표적인 경우가 바로 단선도를 주고 변압기 용량을 선정하시오. / CT 비를 구하시오 / 차단용량을 구하시오 ..... 등등의 소문제 가 많은 문제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용량산정에 너무 집착하지 않으셔도 되며 상황에 따라 계산값으로 계산하시면 됩니다. 만약 죽어도 산정된 값으로 계산해 주고 싶으시다면 계산 과정란에 변압기 용량 산정값을 대입하여 계산하면 이라는 단서를 달아 주시면 출제자 분들도 이해하시겠지만 굳이 용량산정값에 신경 안쓰셔도 될듯 합니다. 기사 문제의 경우 애매하게 꼬투리 잡히게 출제하면 후폭풍이 거세기 때문에 절대 그런식으로 애매하게 출제 안될것이기 때문이며 만약 실제로 그런 문제가 출제 된다면 문제에서 산정값으로 대입하라라는 특별한 언급이 없을 시 계산값으로 대입하셔도 절대 틀리다고 말 못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