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쌤공식3번째 계수하중조합에관한 질문입니다.
2023.02.08 n_4******* 조회 786
기본하중/풍하중/지진하중 1~7번까지 외우라하셨고1. U=1.4(D+F)2. U=1.2(D+F+T)+1.6(L+aH*Hv+Hh)+0.5(Lr) 을 강의에서 고정하중, 활하중만 있다 생각하라하셔서 U=1.2D+1.6L 로 기억하라했는데그럼 나머지 풍하중/ 지진하중은 어떻게 되는거며 그냥 교안에 나와있는 식을 외우면 된다는 말씀이신지요?
댓글 /1000
하수
당신의 지식을 나누어 주세요!
답변하시면 내공 10점을, 답변이 채택되면 내공 20점을 드립니다.
답변 1개
nymphadrian님의 답변입니다.
고수 채택 46 2023-04-14 12:49
합격자



해당내용은 건설기준코드 KDS 41 12 00 건축물 설계하중 12Page 내용입니다.


보시다시피 한계상태설계법이냐 허용응력설계법이냐에 따라서 하중조합도 달라지고 복잡하죠


아마 강의에는 한계상태설계법 7가지 하중조합을 제시하고 그중 1.4D ,1.2D+1.6L을 외우라고 했을겁니다.


그이유는 일단 다 외우는게 비효율적이라 그런게 가장 큽니다. 이렇게 제시되어 있는 하중조합만 해도 7개가 넘고 실제로는 프로그램 돌려보면 하중조합100개도 넘게 쓰는경우 많습니다. 교안에는 그중 제일 보편적이고 자주 나오는 7개를 쓰고 강사님은 그중에서도 많이 나오는 윗 저 두 케이스를 제시한것입니다.


지진하중/ 풍하중은 외우시고 싶으면 외우셔도 됩니다.



추가적으로 조금 깊이들어가자면 고정하중/ 활하중 과 지진하중/ 풍하중은 종류가 좀 많이 다릅니다. 방향이 완전 다릅니다 건물기준으로 고정하중과 활하중은 아래로 작용하는 축방향 연직하중 이라면 지진하중과 풍하중은 옆으로 작용하는 횡방향 하중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작용하는 각도, 방향, 주변환경등에 따라 변화큰 하중들 이죠. 그래서 지진하중과 풍하중은 자세히 들어가면 기사시험수준에는 너무 어려워 깊이 다루지 않습니다. 따라서 일반 문제에서 풍하중과 지진하중이 기사시험에서는 나오지 않기 때문에 하중조합도 크게 신경 안쓰셔도 될것 같습니다. 그럼 열공하세요

‘건축기사 > 기타’ 분야 인기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