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기억나는대로 키워드만 정리해 보겠습니다. 공부가 안된상태에서 보셔도 감이 안올 것이고 아래 나열한 것 이외에 얼마던지 나올 가능성이 있는 것들이 많다라는 것은 사전에 인지하시기를 바랍니다. 필기때 실기것을 한다라는 생각보다는 관련 내용을 조금 더 집중도있게 학습하시고 넘어가시면 충분합니다. 결국 실기때 다시 볼것이고 필기때 미리 정리하더라도 실기 때 실기 이론 및 기출문제풀이 하느라 너무 바빠 미리 정리한 부분 볼 여유가 없을겁니다.^^*
1.전선(가공전선)
-구비조건, 굵기선정,이도
2.표피효과
3.도체의고유저항
4.코로나
5.복도체 장단점
6.송전특성(단/중/장 거리)
7.직류송전의 장단점
8.임피던스법
9.단락비
10.안정도향상대책
11.전자유도장해저감대책
12.연가실시목적
13.이상전압방지대책
14.피뢰기
15.소호원리에 따른 차단기 종류
16.차단기트립방식
17.전력퓨즈
18.비접지선로의 지락사고보호방식
19.비율차동계전기
20.변압기 효율
21.플리커
22.고조파억제대책
23.역률 및 콘덴서
24.전압조정장치
25.승압 및 대책
26.콘덴서 용량 선정
27.부하율,부등률,수용률
28.변압기
29.리액터
이외 등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실기에도 나온다고 하는 부분들을 미리 챙겨보셔도 상관은 없습니다.
하지만 전제 조건이 있다면,
필기 공부가 충분히 되어 있는 상태여야 한다는 것일 것입니다.
필기 중 실기에 나오는 부분으로 가장 비중이 높은 과목은 `전기기기`입니다.
여기서 등장하는 전동기, 변압기 등의 개념이 설계와도 관련이 있기에,
필기를 공부하면서 보게 되는 결선, 변압기 구조 등은 주의깊게 봐야 합니다.
회로이론도 전기기사의 기초적인 부분이라 잘 알아두어야 하는 부분이고요.
다만 위의 두 과목 외에는 실기에서 나오는 부분들이 다소 넓게 퍼져있어,
그 내용을 정리하는 것은 약간 난해할 것 같습니다.
매년 나오는 부분이 있는가 하면,
가끔 나오는 부분이 있는데
이런 부분들까지 짚고 가기엔 효율이 떨어지니까요.
전기기사를 처음 응시하지요?
일단 필기부터 착실히 공부하시고 나서 2월 시험 끝나자마자 실기를 준비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저도 그렇게 공부해서 2019년 1회 전기기사, 전기산업기사를 동차합격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