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산안기와 건안기
산안기를 우선적으로 준비하시고 취득하시는 것을 강력히 추천드립니다. 건안기도 목표로 한다면 산안기 취득 후 도전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일단 건설사에 취업이 목표라고 하더라도 꼭 건설회사에만 가야 된다라는게 아니라면 산안기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셔야 합니다.. 산안기가 건안기 보다 훨씬 포괄적이고 상위 자격증입니다. 말 그대로 건안기는 건설사에서만 적용되는 자격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산안기를 취득하신다면 꼭 건설회사가 아니더라도 안전계통으로 뿐만 아니라 산업전반적으로 활용 가능합니다.^^*
질문자 님께서 난 꼭 건설회사만 목표로 가고 싶다라고 하신다면 건안기가 당연히 우선이오니 건안기를 취득하시면 됩니다.
.
만약 건안기와 산안기 다 취득하신다고 한다면 산안기 취득후 건안기를 추천드립니다. 기본적으로 필기에서 6과목중에 2과목이 겹치고 또 2과목이 비슷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기사는 2과목이 겹치고 산업기사는 3과목이 겹친답니다. ^^*)실기에서는 면제과목이 없으나 공부해 보시면 거의 비슷해서 50% 먹고 들어가는 느낌이 드실겁니다. ^^*
ps) 산안기를 합격하고 건안기 시험을 보려고 할때 면제과목
2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 안전공학, 건설안전기술
공부tip) 산안기나 건안기는 대부분 암기과목입니다.
필기는 이론과 기출 6개년 추천 드립니다.
정 시간이 안되시거나 공부가 안된다라고 한다면 기출 6개년 문답이라도 외우시고 시험 보세요..
문답만 외우신 분들도 70점 나왔다고 하긴 하는데 실기까지 가야 되어서 강추는 못드리겠습니다^^*
실기의 경우 필답 / 작업 10개년 기출문제를 기반으로 공부하시는 걸 추천 드립니다.
특히나 작업형 시험같은 경우 아시다시피 동영상보고 답적는 문제라 상대적으로 쉬운축에 속합니다.
필답형 공부에 중점을 두고 공부하신다면 그 안에 일부 작업형 문제도 포함되어 있기때문에 어렵지 않게 합격하실수 있습니다.
산업안전기사나 건설안전기사가 다른 기사대비 상대적으로 쉬운축에 속하는 시험이오니 2023년 꼭 취득하시기를 바랍니다.
2.전기기사
전기기사가 최종 목표라고 한다면 전기기사를 우선적으로 공부하시어 도전하시는것도 매우 좋은 방법입니다. 공부기간은 기본 6개월에서 1년 잡는것이 평균입니다. 물론 사람에 따라 시험운에 따라 다르겠지만 평균적으로 1년 위아래로 공부한다고 보시면 될듯 합니다.
공부tip)비전공자 기준으로 공부방법을 추천드리겠습니다.
일단 필기 1회독 하는 순서로 회로이론 - 제어공학 - 전력공학 - KEC법규 - 전자기학 - 전기기기 순으로 추천 드립니다.
회로이론은 1회독하기 까다롭게 느끼실수 있겠지만 전기의 기본입니다. 꼭 참고 들으시고 제어공학은 기출문제가 상당히 쉽습니다.
그냥 11문제 중에 8-9개는 맞고 들어가는 과목이라고 보시면 되어서 회로이론에 대한 과락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켜주는 과목이 될겁니다.
그 다음으로 전기의 꽃인 전력공학 인데 이 과목을 앞에 배치한 이유는 일단 공부하기 재미있습니다.
그리고 필기시험에서 계산문제가 별로 나오지 않습니다.
하지만 실기를 한번에 붙기 위해서는 전력공학 계산문제는 하나도 놓치지말고 공부하셔야 합니다. 정말 씹어 먹을정도로 하시는걸 추천 드립니다.
그 다음 KEC 법규로 암기과목인데 정리하기 상대적으로 어렵지 않을것이지만 2022년이 바뀐 KEC 법규가 현장에 적용되는 원년이기 때문에 정말 세세히 정리 잘 하셔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제일 공부하기 XX 같은것이 전자기학, 전기기기 2과목입니다.
이들과목은 기사 필기에서 과락률이 제일 큰 과목들입니다.
전자기학은 결국 공식입니다. 인강은 이 공식을 위한 유도과정일뿐 더도 덜도 없답니다. 때문에 결국 공식암기를 통한 문제풀이가 중점인거죠..
오히려 전자기학이 공부하다보면 효자과목이랍니다. ^^*
전기기기는 이론을 2번 이상 꼭 들으시고 기출문제를 반복하시는게 최선입니다.
이론만 보다보면 답이 안나오는 과목입니다. 꼭 문제를 통해 이론을 정립하셔야 합니다. 포기만 하지 않는다면 충분히 하실 수 있습니다. 파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