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와전기공사기사는 어떤차이점이 있나요 ?
쌍기사라하는데 전기기사취득하면 공사업도할수있다하는데
전기공사기사는 무슨차이기있는지요~
전기기사가 전기공사기사보다 더 활용도가 높습니다.
전기기사로도 대부분의 전기공사를 할 수 있습니다.
전기공사기사는 공기업 취업 가산용으로 많이 취득합니다.
전기공사기사보다는 전기기사+소방설비기사(전기)가 더 활용도가 높습니다.
공사기사는
전력기술인의 인정
설계사 면허
감리원 자격이 주어 집니다.
전기기사는 : 전기안전관리자 입니다.
전기공사기사는 옥외광고사업이 가능 합니다.
전기공사기사의 왠만한 업무는 전기기사가 cover 가능합니다.
법적으로 그렇게 바뀌었습니다.
전기기사는 전기공사 기술자도 가능하고 공사업 등록도 가능하고 감리원 자격도 가능합니다.
게다가 전기기사 만 할수 있는 전기안전관리자 선임 이 있죠..
전기공사기사만이 할 수 있는데 하나 있습니다. 옥외 광고사업 법(대표적으로 도심에 전광판) 관련이 전부입니다.
막말로 전기공사기사는 공기업(한전류) 취업시 점수 따는 용으로 이외에는 거의 쓰일 일이 없답니다.
제가 보기에 대한 `전기협회`와 `한국전기공사협회` 간 세력 싸움용인가 싶기도 하지만 전기법상 전기기사로 거의 모든게 cover 되고 있습니다.
때문에 전기기사만 취득하시더라도 충분하다고 말씀드리겠습니다.
그래도 쌍기사 따고 싶으시다면 무조건 전기기사를 취득하고 필기에서 과목면제 혜택 받으시고 전기공사기사 취득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전기기사만 취득하면 전기공사기사는 3개월 안으로 가능합니다.^^*
전기기사와 전기공사기사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 하면,
전기기사 - 설계, 감리 등이 포함,
전기공사기사 - 견적 등이 포함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말씀하신 대로 전기기사를 소지하더라도 공사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보통 기업에 취직할 때는 전기기사로 충분합니다.
쌍기사는 주로 자격증을 2개 이상 동시에 인정해주는 공기업 등을 목표로 할 때 많이 합니다.
요즘은 워낙 스펙이 상향되어서
전기기사+전기공사기사+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까지 갖추고 취업에 도전하는 분들도 많으시고요.
그리고 서울시 공무원같은 경우는 승진 시 자격증에 가산점이 있는데,
승진 자격증은 한 번밖에 못 쓰기 때문에 승진 가점 용도로 공무원들도 많이 취득합니다.
예를들어 9급에서 8급갈 때 전기공사기사로 가점을 받았다면,
8급에서 7급을 갈 때는 전기공사기사로 가산점을 받을 수 없어 전기기사로 받는 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