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질문요
2022.09.01 비공개 조회 277

전기 기사랑 전기 산업 기사랑 차이점이 뭔가요?

전기 처음 하는 사람도. 강의 내용을 이해할수 있게 강의하나요?

답변 부탁드립미다.


댓글 /1000
하수
당신의 지식을 나누어 주세요!
답변하시면 내공 10점을, 답변이 채택되면 내공 20점을 드립니다.
답변 10개
돌쳐세돌님의 답변입니다.
중수 채택 60 2022-09-02 22:10

네 명문 교수님들이니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게 가르쳐 줄 거예요

블루베리님의 답변입니다.
고수 채택 70 2022-09-02 21:52

네 그럼요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게 강의를 해주시지만 단 한 번에 이해되는 것도 아니고 쉽게 외워지는 것도 아니기에 여러번 봐 줘야 합니다

퐁당치노님의 답변입니다.
중수 채택 62 2022-09-02 21:35

솔직히 말씀드리면 강의를 처음부터 쓰면은 막 한 번에 이해하기는 힘들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회독을 거듭하면서

공부하셔야 합니다.

alfk*****님의 답변입니다.
고수 채택 19 2022-09-01 20:52

가장 큰 차이점은 시험 난이도와 응시자격입니다 강의 내용은 한두번 들어서는 솔직히 이해불가 입니다

qkr*******님의 답변입니다.
고수 채택 62 2022-09-01 20:48

공부하실때 차이점은 별로 없습니다 기사자격증이 상위 자격증이니 어려운건 당연한거구요 취업 활용도 면에서도 유리합니다

Engineer님의 답변입니다.
지존 채택 158 2022-09-01 20:37

1.기사랑 산업기사의 차이점은 등급의 차이입니다.


기사가 산업기사보다 더 높은 등급의 자격으로,

취업을 할 때 산업기사보다 기사가 더 많은 일자리를 찾는데 유리합니다.

봉급 역시 산업기사보다 기사가 더 좋은 편입니다.


1-1.시험에서의 차이는 시험 과목에 ‘제어공학’이 있는가 없는가입니다.

전기기사는 전기자기학, 전력공학, 전기기기, 회로이론, 제어공학, 전기설비기준으로 총 6과목을 시험보고,

전기 사업기사는 전자기학, 전력공학, 전기기기, 회로이론, 전기설비기준으로 총 5과목을 시험봅니다.





2.솔직히 말씀드리면 강의는 어렵습니다.


전기기사 자체가 100개가 넘는 기사 자격증 중에는 어렵기로 5위 안에 드는 자격이라서

처음 하는 사람이 따라가려면 1년 정도는 기본으로 염두에 두고 시작해야 합니다.

쿠키크님의 답변입니다.
지존 채택 239 2022-09-01 20:04

산업기사 응시조건은


학점은행제 41학점 이수를 하셔야합니다.


(수업 + 자격증 + 독학사 + 전적대) 그리고,


-전문대 졸업(예정)자


-실무경력 2년이상


-기능사 취득후 실무경력 1년이상 중


한개 이상 해당된다면, 산업기사 응시를 할수가 있습니다!



기사 응시조건은


학점은행제 106학점( 18학점 전적대 제외 학점 필요)


(수업 + 자격증 + 독학사 + 전적대)을 이수하셔야 하거나,


-4년제 졸업(예정)자


-실무경력 4년이상


-기능사 취득후 실무경력 3년이상


-산업기사 취득후 실무경력 1년이상 중


이중 한개 이상 해당되시면 기사 응시자격을 갖출수 있습니다.


4년제 졸업자의 경우에는


타전공 48학점으로 대체가 가능합니다. 



실무경력 및 응시자격 을 확인하기위해선


큐넷(www.q-net.or.kr) 또는


1644-8000로 전화하셔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큐넷에서 자가진단으로 검사하시거나,


전화로 확인하시는게 제일 정확합니다.

기사_준님의 답변입니다.
채택 497 2022-09-01 19:55

활용도 면에서는 큰 차이는 없습니다 공부량도 크게 차이나는 점은 없구요 난이도에서 당연하겠지만 기사시험이 좀 더 높습니다 계산문제가 많고 복잡하다는 정도입니다

참사랑님의 답변입니다.
채택 168 2022-09-01 18:42
합격자

 전기산업기사는 보통 전기전자관련 학과 3학년이거나 전문대학 졸업생, 전기기능사를 취득하고 1년 이상 경력이 있어야 응시가능합니다.

전기기사는 전기전자관련 학과 4학년생 , 전기산업기사 취득 후 1년 이상 경력, 전기기능사 취득 후 3년 이상 경력이 되어야 응시가능합니다.

전기기사와 전기산업기사의 필기문제 차이는 전기기사는 전기산업기사에서는 안배우는 제어공학을 배웁니다.

(다만, 회로이론의 일부는 제어공학과 중복됩니다.)

전기산업기사는 전기기사보다 상대적으로 실기에서 기출문제 비율이 더 높다고 합니다.

전기기사와 전기산업기사 실기는 공통으로 합니다.

다만, 전기산업기사를 응시한다면 전기산업기사 20개년 실기기출문제+전기기사 7개년 실기기출문제를 푸시면 되고

전기기사를 응시하신다면 전기기사 20개년 실기기출문제+전기산업기사 7개년 실기기출문제를 푸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합격을 기원합니다.님의 답변입니다.
채택 1349 2022-09-01 18:41
합격자

자격요건과 난이도의 차이입니다. 쉽게 말씀드려 전기기사는 4년제 전기과 졸업자이거나 일정이상기간의 전기관련 경력이 있어야만 지원이 가능하며 전기산업기사는 2년제 전문대 관련학과 졸업자이거나 거기에 상응되는 일정이상의 경력이 있어야 지원이 가능합니다. 또한 계산문제에서도 전기기사가 월등히 난이도가 높으며 전기기사에서는 제어공학이라는 과목이 추가로 있습니다. 전기 비전공자에 처음 하시는 거라면 쉽게 이해한다라는건 어려울겁니다. 우선적으로 제일 쉬운게 서점에서 전기기사 관련 책을 훑어 보시면 감이 올겁니다. 전공자 조차도 이론을 1번 듣고는 바로 문제풀이가 거의 불가능할 정도입니다. 때문에 전기기사 비전공자의 경우 최소 이론을 3번정도 들으셔야 됩니다. 처음 들을때는 몰라도 진도나간다는 생각으로 청취하시고 두번째 들을때는 이해가 안되는거 위주로 세번째는 정리하신다는 개념으로 청취하셔야 됩니다.


전기기사 공부 Tip)

비전공자 기준으로 공부방법을 추천드리겠습니다.

일단 필기 1회독 하는 순서로 회로이론 - 제어공학 - 전력공학 - KEC법규 - 전자기학 - 전기기기 순으로 추천 드립니다.

회로이론은 1회독하기 까다롭게 느끼실수 있겠지만 전기의 기본입니다. 꼭 참고 들으시고 제어공학은 기출문제가 상당히 쉽습니다.

그냥 11문제 중에 8-9개는 맞고 들어가는 과목이라고 보시면 되어서 회로이론에 대한 과락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켜주는 과목이 될겁니다.

그 다음으로 전기의 꽃인 전력공학 인데 이 과목을 앞에 배치한 이유는 일단 공부하기 재미있습니다.

그리고 필기시험에서 계산문제가 별로 나오지 않습니다.

하지만 실기를 한번에 붙기 위해서는 전력공학 계산문제는 하나도 놓치지말고 공부하셔야 합니다. 정말 씹어 먹을정도로 하시는걸 추천 드립니다.

그 다음 KEC 법규로 암기과목인데 정리하기 상대적으로 어렵지 않을것이지만 2022년이 바뀐 KEC 법규가 현장에 적용되는 원년이기 때문에 정말 세세히 정리 잘 하셔야 합니다. 2022년은 KEC가 당락을 좌지우지 할수도 있을듯 합니다.

마지막으로 제일 공부하기 XX 같은것이 전자기학, 전기기기 2과목입니다.

이들과목은 기사 필기에서 과락률이 제일 큰 과목들입니다.

전자기학은 결국 공식입니다. 인강은 이 공식을 위한 유도과정일뿐 더도 덜도 없답니다. 때문에 결국 공식암기를 통한 문제풀이가 중점인거죠..

오히려 전자기학이 공부하다보면 효자과목이랍니다. ^^*

전기기기는 이론을 2번 이상 꼭 들으시고 기출문제를 반복하시는게 최선입니다.

이론만 보다보면 답이 안나오는 과목입니다. 꼭 문제를 통해 이론을 정립하셔야 합니다. 포기만 하지 않는다면 충분히 하실 수 있습니다. 파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