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사 응시를 하려면 자격 요건은 어떻게 되나요?
관련 학과 졸업 후 6년이 지나면 응시가 가능하다고 들었는데, 맞는지요?
기사 대비 어떤 차이가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기술사응시자격은 대학졸업후 6년이 아닐겁니다
대학만 필수사항으로 하는건 요즘 그렇게 의무사항이 아닙니다 있더라도 경력도 반드시 볼겁니다.
오 6년씩이나 하나요? 졸업여부와는 관련없을것같아요ㅜ
그리고 경력은 제가 알기로는 3,4년 정도면
경력으로 요건충족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더 정확한건 해당 부서에 직접 문의해보시는것도 좋겠습니다.
어디서 6년이라고 들었는지 모르겠지만
제가 알기론 일간 기사 자격시험 합격후 실무 경력이 필요 한걸로 압니다.
의사 들이 인턴을 거쳐 레지던트가 되어 전문가가 되듯이
기술사도 마찬 가지 입니다.
일단 기사 자격을 따고 실무 경력을 4년이상 채우면 자격 요건이 성립하고
그럼 기술사를 칠수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1. 기사(타 자격 포함) + 실무 4년 이상
2. 산업기사(타 자격 포함) + 실무 5년 이상
3. 기능사(타 자격 포함) + 실무 7년 이상
4. 4년제 졸업(관련학과) + 실무 6년 이상
5. 3년제 졸업(관련학과) + 실무 7년 이상
6. 2년제 졸업(관련학과) + 실무 8년 이상
7. 실무경력 9년 이상
기술자 응시자격 정보검색하시면 이렇게 정보가 나와 있습니다
1. 기사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직무분야(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유사 직무분야를 포함한다. 이하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라 한다)에서 4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2. 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5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3. 기능사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4. 응시하려는 종목과 관련된 학과로서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학과(이하 “관련학과”라 한다)의 대학졸업자등으로서 졸업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6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5.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의 다른 종목의 기술사 등급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
6. 3년제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졸업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7. 2년제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졸업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8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8. 국가기술자격의 종목별로 기사의 수준에 해당하는 교육훈련을 실시하는 기관 중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교육훈련기관의 기술훈련과정(이하 “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이라 한다) 이수자로서 이수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6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9. 국가기술자격의 종목별로 산업기사의 수준에 해당하는 교육훈련을 실시하는 기관 중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교육훈련기관의 기술훈련과정(이하 “산업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이라 한다) 이수자로서 이수 후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8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10.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9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11. 외국에서 동일한 종목에 해당하는 자격을 취득한 사람
기술사의 응시 자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기사, 산업기사, 기능장, 기능사는 ‘국가 기술 자격법’에 의한 관리를 받지만,
기술사는 ‘기술사법’에 의한 관리를 받습니다.
그래서 기술사가 되려면 기술사법을 따로 알고 있어야 합니다.
기술사는 크게 설계, 감리, 지도 등의 업무를 수행합니다.
감리 업무는 전기기사같은 기사 자격증을 가진 사람도 수행할 수 있기에 가장 큰 차이라고 하면 역시 설계가 될 것 같습니다.
기사에 합격하고 관련실무경력이 4년 이상 필요합니다.
기사는 단답형, 계산형 문제가 출제되는데 기술사는 논술형 문제가 출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