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 문답이 아닌 어느정도 답이 왜 도출되었는지 손으로 풀고 이해를 할수 있게 공부하신다면 필기의 경우 5-7개년이면 충분합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교재에 있는 그대로 따라가시면 됩니다. ^^*
공부tip)
비전공자 기준으로 공부방법을 추천드리겠습니다.
일단 필기 1회독 하는 순서로 회로이론 - 제어공학 - 전력공학 - KEC법규 - 전자기학 - 전기기기 순으로 추천 드립니다.
회로이론은 1회독하기 까다롭게 느끼실수 있겠지만 전기의 기본입니다. 꼭 참고 들으시고 제어공학은 기출문제가 상당히 쉽습니다.
그냥 11문제 중에 8-9개는 맞고 들어가는 과목이라고 보시면 되어서 회로이론에 대한 과락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켜주는 과목이 될겁니다.
그 다음으로 전기의 꽃인 전력공학 인데 이 과목을 앞에 배치한 이유는 일단 공부하기 재미있습니다.
그리고 필기시험에서 계산문제가 별로 나오지 않습니다.
하지만 실기를 한번에 붙기 위해서는 전력공학 계산문제는 하나도 놓치지말고 공부하셔야 합니다. 정말 씹어 먹을정도로 하시는걸 추천 드립니다.
그 다음 KEC 법규로 암기과목인데 정리하기 상대적으로 어렵지 않을것이지만 2022년이 바뀐 KEC 법규가 현장에 적용되는 원년이기 때문에 정말 세세히 정리 잘 하셔야 합니다. 2022년은 KEC가 당락을 좌지우지 할수도 있을듯 합니다.
마지막으로 제일 공부하기 XX 같은것이 전자기학, 전기기기 2과목입니다.
이들과목은 기사 필기에서 과락률이 제일 큰 과목들입니다.
전자기학은 결국 공식입니다. 인강은 이 공식을 위한 유도과정일뿐 더도 덜도 없답니다. 때문에 결국 공식암기를 통한 문제풀이가 중점인거죠..
오히려 전자기학이 공부하다보면 효자과목이랍니다. ^^*
전기기기는 이론을 2번 이상 꼭 들으시고 기출문제를 반복하시는게 최선입니다.
이론만 보다보면 답이 안나오는 과목입니다. 꼭 문제를 통해 이론을 정립하셔야 합니다. 2022년 꼭 전기기사 취득하시기를 바랍니다
가능한 한 많이 풀어 보는게 좋습니다.
중복되는게 나올 정도로요
그렇기 때문에 5개년치로는 중복 되는거 거의 없어요 10년치 정도는 보시는게 좋습니다./
문제에 대해 관련 이론까지 모두 본다면 5년이면 충분하지 않을까 합니다.
이론에 대한 응용력을 늘리는 목적으로 기출은 보는 것인데, 기초 없이 문제만 많이 보는 것도 점수를 높이는 데 도움은 되지 않습니다.
시간이 되면 더 보면 좋겠지만, 이제 4주정도 남았으니 우선 5개년에 집중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