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가 없어 정확히 어떤 문제인지는 모르나
피상전력이 700kVA 역률이 0.65를 역률 0.9로 개선할 때 콘덴서 용량 문제를 예로 들고자합니다.
두가지 풀이가 나오는 이유는
P고정인가 S고정인가에 따라 구하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위의 풀이가 알고있는 공식으로 Q=P(tanΘ1-tanΘ2)로 P가 고정되었을 때이며
아래는 변압기 전용량까지 사용이라는 말에 의해 피상전력S가 고정되어 다르게 푸셔야합니다.
제가 올해 2장 부하설비 강의를 하지 않아서 이 부분에 대한 강의를 다른 교수님에게 들으신 것 같네요.
4번 문제의 경우
문제에서 변압기 전용량까지 부하에 공급하고자 한다는 말이 언급되어 있으므로 ~
이 경우에는 피상전력이 일정한 경우로 보셔야 하겠습니다.
예를 들면 피타고라스 비를 이용해 보충설명을 해드리면 ~
3 : 4 : 5 의 비가 있습니다.
이 때 무효전력을 1만큼 감소시키면 피상전력(변압기 용량)이 일정하다고 할 경우
x : 3 : 5 가 됩니다. 이 때 이 비를 만족시키려면 x = 4 가 되어야 겠죠?
이런 개념의 문제가 되겠습니다.
보통필기에서는 콘덴서 용량 구하는 유형이 한개밖에 없는데 유효전력이 고정이고 무효전력과 피상전력은 바뀔 수 밖에 없습니다. 이게 질문자 님께서 생각하는 필기에서 콘덴서 구하는 방식이구요...
2008년 1회차 4번 문제의 경우 실기에서 Upgrade 된 콘덴서 용량계산문제 중 하나입니다. 실기대비용이라고 생각해주세요 ^^*
피상전력(Pa)은 변화시키지 않고 각도(θ, 콘덴서 용량만큼의 각도)가 줄어들면서 유효전력(P)값이 늘어나는거죠.즉 유효전력값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지금부터 실기대비 하신다 생각하시고 두 문제 잘 비교해 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12번 문제는 우리가 기존에 알고 있는 공식을 대입하면 되는 문제구요.
4번 문제는 같은 문제가 아닌,
`변압기의 전용량까지` 라는 키워드에 해당하여 답안 및 해설비법처럼 푸시면 되는 문제입니다.
서로 다른 문제라서 차이를 두고 학습하시면 도움돼요
감사합니다^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