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전현상에서 제백효과와 펠티에 효과가 무엇인가요?
2022.05.15 비공개 조회 5,826

열전현상에서 제백효과와 펠티에 효과가 무엇인가요?

댓글 /1000
하수
당신의 지식을 나누어 주세요!
답변하시면 내공 10점을, 답변이 채택되면 내공 20점을 드립니다.
답변 10개
블루베리님의 답변입니다.
고수 채택 70 2022-05-16 20:45

어느 블로그에서 가져온 내용입니다

다양하게 정의되어있던데

가장 간단히 정리되어 있는걸 캡쳐했습니다.



퐁당치노님의 답변입니다.
중수 채택 62 2022-05-16 20:20

검색해보니 여러곳에서

정의를 알려주고 있네요. 사진첨부합니다,



돌쳐세돌님의 답변입니다.
중수 채택 60 2022-05-16 20:03

제백효과에 대한 내용을 검색해보았습니다


합격을 기원합니다.님의 답변입니다.
채택 1349 2022-05-15 23:01
합격자

1. 제백효과

두개의 금속 도선 접합후 접합부위에 온도차를 주면 전류의 흐름(저온→고온)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하는 효과를 제벡효과라고 한다.

1) 사용용도 : 화재감지기, 열전대, 전자온도계, 용광로 속 온도측정

2) 한쪽 접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온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에 다른 접점을 위치하면 기전력의 크기에 따라 온도차를 알수 있어 기준점과은 온도를 비교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원리이다.


2.펠티에효과

금속, 반도체를 접속한 두 점사이에 폐회로를 구성하고 전류를 흘리면 한쪽 접점은 열이 발생하고 다른 쪽 접점은 열을 흡수하는 현상을 펠티에효과라고 하다. (한쪽에서 열 흡수 후 다른쪽에서 열방출을 한다.)

1) 사용용도 : 흡열을 이용한 냉각기에 주로 사용

2) 전류 방향을 반대로 하면 발열과 흡열이 반대로 된다.

qkr*******님의 답변입니다.
고수 채택 62 2022-05-15 21:12

제어백효과 : 제어백 효과는 서로 다른 금속체의 접합 극단에 열 차이를 주었을 때 열기전력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현상

펠티에 효과 : 펠티에 효과는 서로 다른 금속체를 접합 후 전류를 흘려 보내면 열이 발생하는 현상

제어백이라고도 하고 제백이라고 하고 제어배크라고 합니다

같은 말입니다 정확한 것은 제어백효과입니다

쿠키크님의 답변입니다.
지존 채택 239 2022-05-15 18:20


제백효과(seebeck effect)는 2종의 금속 또는 반도체를 폐로가 되게 접속한 다음, 접속한 2점 사이에 온도차를 주면 기전력이 발생하여 전류를 흘리는 현상입니다.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는 금속, 반도체를 접속한 두 점사이에 폐로를 구성해서 전류를 흘리면 한쪽은 열이 발생하고 다른쪽은 열을 흡수하는 현상입니다.

즉 제백효과와 펠티어효과는 서로 상반되는 개념으로 이해하면 기억하기 편합니다.(열제백 전류펠티어로 외우면 됩니다.)


기사_준님의 답변입니다.
채택 497 2022-05-15 17:33

펠티어 효과는 P,N접합으로 만들어진 반도체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여기에 전류를 흘려주면 한쪽면은 뜨거워지고, 반대편은 차거워지는 현상입니다. 반드시 펠티어 소자를 사용해야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반면에 제벡효과는 반도체가 만들어지기 이전에 두가지의 금속을 붙여서 온도차를 주면 전압이 생긴다는 현상입니다. 현재도 온도센서로 많이 사용하는 열전대쌍이 이효과를 이용한것입니다.


합격을 나무_준님의 답변입니다.
영웅 채택 151 2022-05-15 15:58
합격자

도체네에 전류가 흐를 때 열을 팽창 흡수하는 법칙입니다

시험문제 단골 유형이에요

  • 참사랑 2022.05.18
    소방설비기사 전기 실기에도 제어벡효과에 대해 설명하라는 문제가 나온 적이 있습니다.
alfk*****님의 답변입니다.
고수 채택 19 2022-05-15 11:10

전기를 흐르는 물체(도체)내에는 자유롭게 움직일수 있는 전자가 있기 떄문입니다. 마치 기체처럼요.기체는 온도가 높으면 기체밀도가 낮아지고, 온도가 낮으면 기체밀도가 높아집니다. 이와 같은 원리를 그대로 자유전자에도 적용하면 온도가 낮은 쪽에는 전자가 많고 온도가 높은 쪽에는 전자가 적게 될 것입니다. 그런데 기체와 달리 전자는 -전하를 갖고 있습니다.

그럼 같은 도체내에서 온도편차가 있는 경우 온도가 낮은쪽으로 전자가 쏠리면 그쪽 전압은 낮아지게 되지요. 그런데 이러한 온도편차에 대한 전자의 쏠림정도는 각 도체마다 다 틀림니다. 그래서 두개의 다른 금속을 고리모양으로 붙이고 양 접합점의 온도차를 발생시키면 온도차에 의한 전자의 발란스가 맞지 않아서 전류가 흐르게 되지요. 이를 제백효과라고 하고

그 역으로 일어나는 경우가 펠티어 효과입니다.

하늘바람님의 답변입니다.
지존 채택 65 2022-05-15 10:28

열전 현상이란 열과 전기가 같이 작용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당연히 전기가 작용을 하므로 도체를 기준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두개의 금속 도선 접합부에 온도차를 주면 전기가 흐르는 현상을 제백 효과라 하며

두개의 금속 도선 접합부에 전위차를 주었을 때 한쪽은 발열, 다른 한쪽은 흡열을 하면서 온도차가 나는 것을 펠티에 현상이라고 합니다.

즉 제백 효과와 펠티에 현과는 서로 원인이 되는 인자가 다르고 결과로 발생하는 인자도 다릅니다.

상보적인 관계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에 비해 한개의 금속에서 흡열, 발열이 발생을 하는 것은 톰슨효과라고 하니 참조로 알아 두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