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 유도기 35번 질문드립니다.
2022.04.26 may***** 조회 947
35. 전전압 기동 용량이 50[kVA]인 3상 유도 전동기를 Y-Δ로 기동하는 경우 기동 용량은 약 몇 [kVA]인가?답: 17[kVA]유도전동기를 Y-Δ로 기동하는 경우 전류가 1/3로 낮아지는 내용의 문제였습니다.제가 궁금한 것은 전류가 1/3로 낮아진다면 토크는 1/9로 낮아지게 되는데(T∝V^2, T∝I^2*R^2)전동기를 기동할 때는 큰 토크가 필요하기 때문에 반대로 전류가 많이 흐르게 하는 기동 방법을 사용해야되는 게 아닌가 생각되어 질문드립니다.회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1000
하수
당신의 지식을 나누어 주세요!
답변하시면 내공 10점을, 답변이 채택되면 내공 20점을 드립니다.
답변 10개
돌쳐세돌님의 답변입니다.
중수 채택 60 2022-05-01 11:58

기동전류와 토크는 크기를 서로 상반되게해야해요

블루베리님의 답변입니다.
고수 채택 70 2022-04-30 01:05

기동할때 토크는 크게 하며 전류는 작게해야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한데 좋아요.

퐁당치노님의 답변입니다.
중수 채택 62 2022-04-30 00:44

기동전류는 작게 토크는 커야합니다.

alfk*****님의 답변입니다.
고수 채택 19 2022-04-29 11:25

 기동토크는 크고 전류는 작은게 좋습니다

qkr*******님의 답변입니다.
고수 채택 62 2022-04-29 11:03

기동법은 기동특성을 개선합니다 토크를 크게 하고 기동전류를 작게 하는 것이에요

쿠키크님의 답변입니다.
지존 채택 239 2022-04-29 07:24

 V=IR는직류회로에서 주로 적용되는 것입니다

기사_준님의 답변입니다.
채택 497 2022-04-29 07:02

기동법은 기동특성을 개선하고, 기동토크를 크게 하고, 기동전류를 작게 하는 것입니다

하늘바람님의 답변입니다.
지존 채택 65 2022-04-28 06:17

기동시 토크는 크게 하고 전류는 적은 것이 안정적으로 동작하는데 좋습니다.

전류부하가 증가하면 전선, 저항 등 내구성을 강화해야하므로 비용도 비싸지고 만들기도 힘듭니다.

합격을 나무_준님의 답변입니다.
영웅 채택 151 2022-04-28 00:13
합격자

기동시에 전류가 많이 흐르면 좋지는 않죠,

잠깐동안 동작하는데 전류의 크기로 굵기, 용량 등 늘려야 할게 많아요

그래서 기동토크는 크고 전류는 작은게 좋아요

비공개님의 답변입니다.
시민 채택 55 2022-04-27 00:10

전류가 1/3로 낮아진다면 토크는 1/9로 낮아지게 되는데(T∝V^2, T∝I^2*R^2)

 

이건 어떻게 나온 건가요?

기본적으로 V=IR이라고 하는 것은 직류회로에서나 적용되는 것인데

기본적으로 교류회로의 관계를 따져야 하는 것이 아닌가요

 

그리고 이 문제에 관해서는 

이론 수업시간에도 이미 설명했는데,

혹시 이론 강의는 들어보셨나요?

 

기본적으로 기동법이라는 것은 기동특성을 개선하는 즉, 기동토크를 크게 하고, 기동전류를 작게 하는 것인데,

일반적으로 유도기에서는 권선형유도전동기의 경우 2차 저항제어(즉 , 비례추이)를 통해서 

쉽게 이것을 제어할 수 있으나, 

농형의 경우 2차 저항을 삽입할 수 없기 때문에

감전압 제어를 통해 제어합니다.

 

이때 감전압 제어를 사용하게 되면 토크는 감소하게 되는데,

여기서는 토크를 증가시키는 것보다 기동전류 ..즉 전류가 너무 커지면 전동기의 수명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기동전류를 제한시키는 것이 주 목적입니다.

토크가 작게 되면 정격속도까지 올라가는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그때까지 길게 보고 시간을 두면 되는 것이고, 

 

주 목적인 기동전류 감소의 경우로 생각하면 됩니다.

 

그리고 주윤성 수강생님..

문제만 풀지 마시고, 이론 강의 좀 찾아서 봐 주세요.

‘전기기사/기능사 > 기타’ 분야 인기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