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8월부터 전기기사 공부를 시작해서 기출문제만풀어서 올해 기사 필기를 쳤는데 둘다 56점 57점 이네요ㅠㅠ
에듀윌 전기기사7개년만 9회독까지하면서 풀었는데
1회 -10 -6 -9 -10 -9
2회 -10 -6 -13 -6 -8
로 결과가 나왔는데 이건 계속 과년도만 풀어야하나요? 아니면 에듀윌강의를 들어야하나요?
만약 강의를 듣는다면 6개월 기사 패스로 들어야하나요?
제 경험으로 봤을때 질문자 님은 시험 2번 치는동안 내용을 통한 풀이를 하시기보다는 단순 문답만 하신듯 합니다. 저 같은 경우 필기 시험 볼때 이론 2번보고 기출 들어갔었던 기억이 나네요.. 기출을 단순 문답으로 하지 않았고 이론을 토대로 왜 이런식으로 풀이가 되었는지.. 혹 이론에 없는 풀이가 나온다면 문답을 외우기 보다는 이런 유형의 문제가 나왔을때는 이런식으로 풀어야 되는구나 라고 손이 먼저 나갈 수 있도록 연습 했었던 기억이 나네요..
혹시나 환급과정 신청이 된다면 환급과정으로 수강신청 하시는것을 추천 드립니다.
그리고 이번 필기 시험부터는 본인만의 이론 수첩을 만드시는걸 추천 드립니다. 이론수첩 이라고 해봤자 과목당 모든것을 정리해도 조그만 수첩 5-10장 정도 밖에 안됩니다. 그렇게 6과목을 수첩 1개로 만드시어 책상 이외에 있을때 분신처럼 가지고 다니면서 계속 눈으로 노출시켜주시기 바랍니다. 시간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시험볼때도 쏠쏠하게 머리에서 답을 제시해 줄겁니다. 그리고 기출문제를 풀면서 아리까리한 이론은 바로 수첩을 통하면 1분도 안걸립니다. 또한 이론에 없는 문제유형이 나왔을때는 수첩에 그러한 문제를 정리해서 계속 봐주시는게 좋습니다. 결국 모든 공부는 책상에서만 이루어 지지 않습니다. 책상에서만 공부하신다고 가정하는게 굉장히 비효율 적입니다. 이제 환급과정을 통해 공부방법도 같이 바꾸시어 조금 더 효율성을 추구 하시기를 강력히 추천 드립니다. 만약 환급과정이 안된다면 최대한 짧게 6개월 과정으로 재등록 하시는 것이 좋을듯 보여집니다.
참조)비전공자 기준으로 공부방법을 추천드리겠습니다.
일단 필기 1회독 하는 순서로 회로이론 - 제어공학 - 전력공학 - KEC법규 - 전자기학 - 전기기기 순으로 추천 드립니다.
회로이론은 1회독하기 까다롭게 느끼실수 있겠지만 전기의 기본입니다. 꼭 참고 들으시고 제어공학은 기출문제가 상당히 쉽습니다.
그냥 11문제 중에 8-9개는 맞고 들어가는 과목이라고 보시면 되어서 회로이론에 대한 과락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켜주는 과목이 될겁니다.
그 다음으로 전기의 꽃인 전력공학 인데 이 과목을 앞에 배치한 이유는 일단 공부하기 재미있습니다.
그리고 필기시험에서 계산문제가 별로 나오지 않습니다.
하지만 실기를 한번에 붙기 위해서는 전력공학 계산문제는 하나도 놓치지말고 공부하셔야 합니다. 정말 씹어 먹을정도로 하시는걸 추천 드립니다.
그 다음 KEC 법규로 암기과목인데 정리하기 상대적으로 어렵지 않을것이지만 2022년이 바뀐 KEC 법규가 현장에 적용되는 원년이기 때문에 정말 세세히 정리 잘 하셔야 합니다. 2022년은 KEC가 당락을 좌지우지 할수도 있을듯 합니다.
마지막으로 제일 공부하기 XX 같은것이 전자기학, 전기기기 2과목입니다.
이들과목은 기사 필기에서 과락률이 제일 큰 과목들입니다.
전자기학은 결국 공식입니다. 인강은 이 공식을 위한 유도과정일뿐 더도 덜도 없답니다. 때문에 결국 공식암기를 통한 문제풀이가 중점인거죠..
오히려 전자기학이 공부하다보면 효자과목이랍니다. ^^*
전기기기는 이론을 2번 이상 꼭 들으시고 기출문제를 반복하시는게 최선입니다.
이론만 보다보면 답이 안나오는 과목입니다. 꼭 문제를 통해 이론을 정립하셔야 합니다. 2022년 꼭 전기기사 취득하시기를 바랍니다
작년 8월부터 묹0 위주로 하신 것 같습니다. 문제의 유형에 대해서는 잘 아시는 것 같은데 변형 문제에 대한 대응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지금 시간이 있으니 이론 1회독을 하시고 기출 5개년 중심 1회독을 한 번 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목차를 보면서 내용을 정리하서나 에듀읠 요약노트를 사용하는것도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