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렬콘덴서와 전력용콘덴서
2022.04.20 비공개 조회 4,736

전기기사 실기 공부중입니다)


먼저 전력용 콘덴서=병렬콘덴서 이렇게 생각하고 있는데요

직렬 콘덴서기능이 살짝 걸립니다

전력용 콘덴서 기능과 똑같이 보는것은 잘못된건가요?

댓글 /1000
답변 6개
합격을 기원합니다.님의 답변입니다.
채택 1349 2022-04-21 00:21
합격자

사실 직렬 콘덴서에도 전압강하를 보상하면서 Xc를 공급해주면 역률 개선이 되는 역할이 있기는 합니다만 전체 역할의 5-10% 밖에 차지하지 않으므로 실제 시험에서는 정답으로 처리 되지 않습니다. 결국 병렬콘덴서는 유도성 부하인 무효분을 보상하여 역률을 개선, 직렬콘덴서는 선로의 유도성 리액턴스를 보상하여 전압변동률을 개선한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하늘바람님의 답변입니다.
지존 채택 65 2022-04-21 00:04

콘덴서를 직렬로 연결하는 경우와 병렬로 연결하는 경우는 기능이 다릅니다.

전력용 콘덴서는 역률을 개선하기 위해 공진주파수를 조정하는 용도로 병렬로 연결이 되며

직렬로 연결되는 경우는 송전선의 전압 강하를 개선하기 위한 용도로 주로 사용이 됩니다.


콘덴서 C는 Xc = 1/sC로 표시되며

송전선에 직렬 연결 시 발생하는 유도성 리액턴스를 개선하기 위해 콘덴서를 달게 되며

X = XL - Xc로 표시 됩니다. (XL 은 유도성 리액턴스)

qkr*******님의 답변입니다.
고수 채택 62 2022-04-20 23:49

직렬연결은 최대 전력이 콘덴서의 용량값이구요

병렬연결은 역률을 개선 입니다

쿠키크님의 답변입니다.
지존 채택 239 2022-04-20 23:27

네 직렬과 병렬은 달라요 똑같이 보시면 안돼요

합격을 나무_준님의 답변입니다.
영웅 채택 151 2022-04-20 23:16
합격자

직렬과 병령 콘덴서는 달라요

직렬은 5고조파 제거

병렬는 역률 개선입니다

기사_준님의 답변입니다.
채택 497 2022-04-20 23:09

직렬연결은 최대 전력이 콘덴서의 용량값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치 않습니다. 전자회로에서 교류 분을 분리할때 사용합니다. 

병렬연결은 코일과 공진을 하면 임피던스가 최고점이 됩니다. 

역률을 개선하기 위해 병렬연결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