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개략적으로 설명 드리겠습니다. ^^*
(출처 : 유투브 전병칠)
어차피 직각좌표로 표현하나 극좌표로 표현하나 공간상의 위치는 똑같습니다.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직각좌표를 극좌표로 변형하기 위해서는 Z = 10 + j10이라고 한다면 root200 tan-1 10/10 이 되고 10root2 tan-1(1) 이 됩니다. 여기서 tan 45 = 1 이기때문에 이를 이항하면 tan-1(1) = 45 가 되는거죠.
하지만 기본적인 것만 아신다면 극좌표 직각좌표 관련 일체는 계산기에 맏기시는걸 추천 드립니다.
tθ=높이/밑변=허수/실수 라는점을 아셔야합니다.
각도 θ의값을 구하면 45도되며
그래서 밑변과 높이가 같으면 각도가 45가됩니다.
각도 = 허수/실수에요
요그 값이 10/10이니 1이 나오고
탄젠트 45도 = 1
즉 아크탄젠트니 45도가 답입니다
안녕하세요
tanθ = 높이/밑변 = 허수/실수 입니다
tanθ = 10/10 = 1 이지요
이때, 각 θ 를 구하려면 θ = tan-1 1 이고 이것을 구하면 45도가 되는 것이지요
밑변과 높이가 같으면 각도는 45도가 되는 것입니다
1+j1 = 2+j2 = 3+j3 = 4+j4 10+j10 모두 각도는 45입니다
그리고 크기는 √(실수2 + 허수2)이므로 = √(102 + 102 ) = 10√2가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극형식으로 표현을 하면 크기= 10√2 각도 = 450
열공하세요
Z 극좌표에서 실수부는 수평선, 허수부는 수직선 표시됩니다. 이때 수평기준선이 0도 기준으로 Z의 각도는 45도가 되어 아크탄젠트 값이 45도가 되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