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접지와 직접접지 방식은 엄연히 다릅니다. 정전용량의 차이를 이용하여 비접지 방식은 지락전류가 다시 Ea Eb Ec로 흐를수있는 것이고 직접접지의 경우 당연히 대지로 지락을 흐르게 하기위한 방식이기 때문에 대지로 지락전류가 흐른다 라고 생각해 주시면 됩니다.
접지가 대용량 축전지이므로 진상 위상을 가지고 있어 흐를 수도 있습니다.
이 때 회로 구조 및 전위차를 따져 보아야 합니다.
직접접지 방식의 경우에는 전위가 낮으므로 흐르지 않습니다.
비접지 방식과 직접접지방식 방식에 대한 강의를 다시 한번 들어보시는 걸 추천 드립니다 지금 착각을 하고 계신 듯 합니다
1선이 지락되었을때 비접지방식에선 각선과 대지간의 정전용량 C 때문에 흐를수가 있고 직접접지방식에선 C임피던스보다 대지간과 중성점의 임피던스가 낮기 때문에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비접지 방식에서는 1선이 지락되었을 때
각선과 대지간의 정전용량 C에 의해서 흐를 수가 있습니다.
직접접지방식에서는 1선 지락이 되었을 때
각 선과 대지간의 정전용량 C의 임피던스보다 중성점과 대지간의 임피던스가 낮기 때문에
각 선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고 중성점으로 전류가 흐른답니다.
현재 코로나 확진에 의해서 답변을 가급적 간소히 남겨드리는 점 죄송하게 생각됩니다.ㅠ
몸상태가 매우 안 좋아 답변을 자세히 못해드리는 점 죄송합니다.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