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제막 토목기사 실기를 준비하는 중인데 사진에 올린 문제처럼 풀이과정을 적을때 저 숫자가 가지는 의미도 다 적는게 좋은가요???
문제보고 계산기로 풀수있는 수준이라서 식을 적을수는 있는데 예를들어 Bf = 1.2 이렇게 다 적어야 점수를 더 받고 그러는지 궁금합니다ㅠㅠ
채점관들은 수십년씩 토목일을 해 온 분들입니다.
계산문제는 답만 보는 것이 아니라 풀이과정도 봅니다.
답에서 약간 오차가 난다고 해서, 무조건 감점을 하지 않습니다.
계산과정을 살펴보면 어디에서 오차가 났는지,
응시자가 뭘 알고 문제를 풀었는지 아무것도 모르고 풀었는지 정도는
한눈에 알 수 있는 채점관들입니다.
응시자로서는 당연히 신경이 쓰이는 부분이겠지만,
너무 그런 문제에 신경 쓰시지 않으셔도 되구요...
계산과정 전체를 숙지하고 이해하는데에 노력하시면 됩니다.
또 채점을 한번만 하는 것이 아니라고 들었습니다.
3명의 채점관이 총3번을 한다고 하며, 3명이 합의를 해야 최종점수가 판정된다고 합니다.
또 불합격자 중에서 합격점에 가까운 응시자의 답안은
마지막으로 한번 더 검토해서 구제할 수 있는지 여부를 심사숙고 한다고 들었습니다.
한명이라도 더 합격시키고자 하는 의도라고 들었습니다.
이건 정확합니다.
아닙니다 숫자의 의미까지 안적으셔두 됩니다 감독관님들이 다 파악하십니다 완벽하게 다 적으셔도 추가 점수는 없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모든 풀이과정을 다 적을 필요는 없습니다 식이 좀 빠졌다고 오답처리 되는건 아닙니다 그렇다고 상세히 적었다고 해서 점수를 더 받는것도 아닙니다
절대 그러실 필요 없습니다. 채점관님들은 기술사 이시기 때문에 풀이과정만 제대로 명기한다면 알아보십니다. 때문에 해당문제에 대해서 간결하고 명확한 풀이과정만 명기하세요. 실기교재는 말그대로 참고용 수험서 일뿐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