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전재해의 직접적인 요인 VS 인체피부의 전기저항에 영향을 주는 인자
2022.03.02 akn****** 조회 5,618

안녕하세요.

산업안전 기사 기출을 풀다가 이해가 안 되서 질문을 올립니다.


2019년 2회 전기위험방지기술 77번

인체의 피부의 전기저항에 영향을 주요인자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답(3번 통전경로)

1)접촉면적 2)인가전압의 크기 3) 통전경로 4)인가 시간


2019년 3회 건설안전기술 113번

감전재해의 직접적인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답(1번 통전전압의 크기)

1)통전전압의 크기 2)동전전류의 크기 3)통전시간 4)통전 경로


[질문]

  1. 제가 보기엔 같은 의미의 문제인듯 한데 , 제가 잘못 이해를 한 것인 걸까요?
  2. 아님 전기에서 나오면 "통전경로:라고 하고 건설에서 나오면 "통전 전압"이라고 찍을까요?
  3. 아님 둘 중에 하나는 문제가 잘못 된 것일까요?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1000
하수
당신의 지식을 나누어 주세요!
답변하시면 내공 10점을, 답변이 채택되면 내공 20점을 드립니다.
답변 9개
alfk*****님의 답변입니다.
고수 채택 19 2022-08-21 20:08

전압의 크기는 2차적 감전 위험 요인입니다.

돌쳐세돌님의 답변입니다.
중수 채택 60 2022-08-16 23:04

통전전압이라고 하는게 조금 더 맞아보입니다.

퐁당치노님의 답변입니다.
중수 채택 62 2022-06-28 12:12

통전경로아지 통전전압인지 헷갈릴수도 있겠군요

근데 같은 문제는 아닐거에요

문제에서 대응되는 개념들이 뭔지 파악해뒀다가

비슷한문제가 나오면 그때 선지들이 뭘로

구성되어있었는지 기억해내서 푸는게 좋을것같아요.

블루베리님의 답변입니다.
고수 채택 70 2022-05-11 21:05

저도 모르던내용이었는데

아래 답변들을 통해 새로알아가네요

질문감사드립니다.

하늘바람님의 답변입니다.
지존 채택 65 2022-04-30 20:06

문제가 말하는 것이 인체, 감전재해에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인체의 피부쪽의 영향은 통전 경로는 큰 상관이 없으며,

감전재해에서 전류가 전압보다 더 큰 영향이 있습니다.


합격을 나무_준님의 답변입니다.
영웅 채택 151 2022-04-30 19:11
합격자

감전 요인은 1차에서 2차로 요인이 있어요

그리고 감전에는 여러 요소가 있어서 딱 1가지 방법이라고 말씀드리기 어렵습니다.

통전 전압이 맞는 표현같아 보입니다.

qkr*******님의 답변입니다.
고수 채택 62 2022-03-03 00:34

감전재해의 주요요인은

1차적 감전요소: 통전전류의 크기, 통전경로, 통전시간, 전원의 종류

2차적 감전요소: 인체의 조건[인체의 저항], 전압의 크기, 계절 등 주위 환경입니다 통전전압의 크기는 아니에요

77번 문제는 2차적 감전요소 해당사항입니다


쿠키크님의 답변입니다.
지존 채택 239 2022-03-03 00:23

감전의 위험을 결정하는 요인(1차적 전격 요인)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통전 전류의 크기 ② 통전 경로 ③ 통전 시간 ④ 통전 전원의 종류

전압의 크기는 2차적 감전 위험 요인입니다.


감전(전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전격 위험도 결정 조건 (1차적 위험 요소) ① 통전전류의 크기 ② 통전시간 ③ 통전경로 ④ 전원의 종류

(직류보다 사용주파수의 교류전원이 더 위험)

(2) 2차적 감전 위험 요소 ① 인체의 조건 (저항) ② 전압 ③ 계절


이렇게 정리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기사_준님의 답변입니다.
채택 497 2022-03-03 00:13

피부 전기 저항은 인과 전압과 관계가 깊구요...전격은 인가 전압보다는 전류.통전.시간.통전 경로순으로 관계가 깊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