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산업안전 기사 기출을 풀다가 이해가 안 되서 질문을 올립니다.
2019년 2회 전기위험방지기술 77번
인체의 피부의 전기저항에 영향을 주요인자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답(3번 통전경로)
1)접촉면적 2)인가전압의 크기 3) 통전경로 4)인가 시간
2019년 3회 건설안전기술 113번
감전재해의 직접적인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답(1번 통전전압의 크기)
1)통전전압의 크기 2)동전전류의 크기 3)통전시간 4)통전 경로
[질문]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통전경로아지 통전전압인지 헷갈릴수도 있겠군요
근데 같은 문제는 아닐거에요
문제에서 대응되는 개념들이 뭔지 파악해뒀다가
비슷한문제가 나오면 그때 선지들이 뭘로
구성되어있었는지 기억해내서 푸는게 좋을것같아요.
문제가 말하는 것이 인체, 감전재해에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인체의 피부쪽의 영향은 통전 경로는 큰 상관이 없으며,
감전재해에서 전류가 전압보다 더 큰 영향이 있습니다.
감전 요인은 1차에서 2차로 요인이 있어요
그리고 감전에는 여러 요소가 있어서 딱 1가지 방법이라고 말씀드리기 어렵습니다.
통전 전압이 맞는 표현같아 보입니다.
감전재해의 주요요인은
1차적 감전요소: 통전전류의 크기, 통전경로, 통전시간, 전원의 종류
2차적 감전요소: 인체의 조건[인체의 저항], 전압의 크기, 계절 등 주위 환경입니다 통전전압의 크기는 아니에요
77번 문제는 2차적 감전요소 해당사항입니다
감전의 위험을 결정하는 요인(1차적 전격 요인)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통전 전류의 크기 ② 통전 경로 ③ 통전 시간 ④ 통전 전원의 종류
전압의 크기는 2차적 감전 위험 요인입니다.
감전(전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전격 위험도 결정 조건 (1차적 위험 요소) ① 통전전류의 크기 ② 통전시간 ③ 통전경로 ④ 전원의 종류
(직류보다 사용주파수의 교류전원이 더 위험)
(2) 2차적 감전 위험 요소 ① 인체의 조건 (저항) ② 전압 ③ 계절
이렇게 정리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피부 전기 저항은 인과 전압과 관계가 깊구요...전격은 인가 전압보다는 전류.통전.시간.통전 경로순으로 관계가 깊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