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 임피던스를 이야기할 때 벡터 공간 개념을 숙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피상, 무효, 유효 전력이라는 것은 이와 연관됩니다.
벡터를 직교 좌표계라고 생각하면
x축을 실수로, y축을 허수로 놓습니다.
이때 유효 전력은 실수축 x 쪽으로 작용하고
무효 전력은 허수축 y 쪽으로 나타납니다.
피상 전력은 무효 + 유효로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같은 전력 공식이라도
R(실수축 요소) - 저항
X(허수축 요소) - 리액턴스
Z(R + jX) - 임피던스
으로 나오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병렬에서는 다음식을 이용합니다
(1) 유효전력 : V^2/R
(2) 무효전력 : V^2/X
직렬과 다른 형태가 됨을 기억하셔서 틀리지 않도록 하셔요
추운 날씨 건강도 잘 챙기시구요
감 사...
직렬과 병렬 차이 같아요
직렬에서는 모든 전류 I(V/Z)가 같지만
병렬에서는 R.L,C 소자에 들어가는 전류가 각각 다릅니다(V/R, V/wL, V*wC)
결국 이 개념으로 유도하시면 위 결과 얻을 수 있습니다. 천천히 공부하시고 이해하세요
열공하세요!
이렇게 생각해 보시면 어떨까요?
보통 직렬에서는 P=I2R (전류가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계산)
또한 병렬에서는 P=V2/R(전압이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계산)
이런식으로 가정하여 계산해 줍니다.
즉, 교재에 나온 방식은 직렬일때를 가정해서 공식정리가 된것이고 나중에 문제에 보시면 병렬일 경우 P=V2/R를 이용하여 푸는 문제들이 있습니다.
지금은 그러려니하고 넘어가시고 문제풀이를 통해 이론을 정립하시는게 빠를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