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동권선 : 동기 기계 자극의 표면에 다수의 도체봉으로 설치되어 있는 권선. 그 양단은 환상의 도체에 의해 단락되어 있다. 동기 전동기로서의 기동, 삼상 발전기의 불평형 고장에 의한 고조파 이상 전압의 방지, 고장 시 또는 개폐 조작 시 기계의 정지를 위해 사용한다.
난조 : 일반적으로 기기 또는 장치의 동작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지속적인 진동상태를 말한다
부하가 급변하면 발전기의 회전자가 이에 대응하기 위해 변하게 됩니다.
그런데 회전자는 관성이 있어 기존 속도와 새로운 속도와의 차이를 가지게 되어 진동을 일으키는 데 이를 난조라 합니다.
난조를 막기 위해 공진 현상을 이용하여 제동 권선을 설치하여 정지시키도록 한 것입니다.
발전기 부하가 급변을 하면 부하에 대응하기 위해 동기 화력에 속도 변화를 가집 니다.
이때 회전자는 관성이 존재하므로 적당한 속도에서 멈추지 않고 새로운 속도를 중심으로 진동을 일으키게 되기때문에 진동폭이 줄어 들게 됩니다.
난조 : 일반적으로 기기 또는 장치의 동작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지속적인 진동상태를 말한다
라고 인터넷에 나와있습니다.
설비를 직접 보지 않는 이상 굉장히 추상적이죠. 받아들일 수 밖에 없습니다.
또한 설명은 교수님꼐서 비공개로 잘 설명해주셨네요
부하가 갑자기 증가하면 그만큼 일한 량이 많이 집니다
따라서 동기속도도 같이 변동이 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부하가 급변하면 나타나는 현상으로 난조가 되는것으로 들었습니다
제동권선 : 동기 기계 자극의 표면에 다수의 도체봉으로 설치되어 있는 권선. 그 양단은 환상의 도체에 의해 단락되어 있다. 동기 전동기로서의 기동, 삼상 발전기의 불평형 고장에 의한 고조파 이상 전압의 방지, 고장 시 또는 개폐 조작 시 기계의 정지를 위해 사용한다.
네이버 국어사전에 나와있는 내용이에요!
발전기의 부하가 갑자기 급변을 하게 되면 발전기는 새로운 부하에 대응하기 위해 동기 화력에 의한 속도 변화를 가지게 됩니다. 근데 회전자는 관성이 존재하므로 적당한 속도에서 멈추지 않고 새로운 속도를 중심으로 진동을 일으키게 되며, 일반적으로는 그 진동폭이 점차 줄어들어 다시 동기속도로 회전을 하지만 진동 주기가 동기 발전기의 고유 진동 주기에 가깝게 되면 공진 작용으로 인해서 진동이 점점 증대되며 속도가 변해버리는데 이런 현상을 난조 현상이라고 합니다. 이게 심해지면 동기 이탈이 발생하구요.
그리고 난조를 방지하기 위해 자극의 표면에 홈을 판 다음 권선을 감는데, 이게 제동권선입니다. 제동권선의 역할은 공진에 의한 진동을 억제하는 작용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