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권 전동기에 무부하라고 하면
I = (계자 전류) + (자속 전류)
I 전류가 0이 되면
(계자 전류) = -(자속 전류)
가 되게 됩니다.
즉 계자로 가는 전류는 0이 아니고 자속 전류에 음의 방향을 가지게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만일 무여자라고 하면 자속은 0이 되므로
N = k * (V-Ia*Ra)/ (자속) = 무한대
속도가 무한대가 되어 과부하 상태가 되게 됩니다.
https://m.blog.naver.com/hjh2578/222319623103
분권전동기 무부하운전에 대해
어느블로그에서 정리해놓은건데
약간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무부하라고 해도 약간의 부하전류가 흐릅니다. 우리는 이론을 배우는 거여서 부하전류가 0 이라고 배우는 거고요
실제로 전동기가 무부하더라도 부하전류는 미소하게 흐릅니다. 그러므로 전기자와 계자에 전류가 흘러 전동기가 회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공부하는 것은 이론상이므로 이론상으로는 무부하 시 부하전류가 0입니다.
그러므로 E=V가 같습니다 ^^
전동기의 부하는 전동기 축에 연결된 밸트 또는 날개 등을 의미하며 무부하란 이런 밸트나 날개를 걸지 않는 상태에서 전동기에 전원을 공급하면 전동기는 무부하 운전을 하게 됩니다. 이 상태에서 계자를 개방시키면 속도식에서 V값은 전원으로 공급이 되고 있는 상태에서 분모에 있는 자속이 영이 되기때문에 속도가 과속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