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지락계전기(SGR) - 비접지선로에서 주로결선에사용 (병행2회선 혹은 비접지선로에서 지락이 발생한 회선만 검출하여 선택, 차단함.)
ex) GPT의 목적이 비접지선로에서 영상전압 검출이니까 GPT가 있는 선로에서는 선택지락계전기를 사용
지락방향계전기(DGR) - 접지선로에서 주로 결선에 사용
ex) 3상4선식 선로에 ZCT가 설치되어있는 선로에는 지락방향계전기를 설치
이렇게 생각하시면 될듯 합니다. 상세한건 교수님 1:1 질의를 통해 문의해 보시는게 빠를듯 합니다.
SGR 은 보통 수용가에서 사용하지 않는다고 들었습니다.
이 문제에 관련하여 작년에 수강생분들께서 많은 질의를 주었습니다.
그래서 원장님 지인을 통해 ~ 건축전기설비기술사신 분에게 질의를 해보았습니다.
결론은 ~ 선택지락 계전기의 경우는 잘 사용하지 않고
지락 방향계전기 DGR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2002년 문제인 7번의 경우에는 정말 드문 문제입니다.
그래서 ZCT 와 GPT 연결되어 있는 곳에 대부분은 DGR을 사용한다라고 정의해두시고
만약 아주 만약 !!! 7번인 나온다고 한다면 그 때 SGR이라고 하셨으면 합니다.
대부분은 DGR !! 그리고 7번 문제의 수변전 결선도가 나온다면 SGR이라고 답하시길 ^^
힘든 공부이실텐데 화이팅 하십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