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공자인데요.
전기기사와 전기공사기사가 과목도 거의 겹치고 비슷한 게 많은 것 같은데 처음 도전하는 거면 전기기사와 전기공사기사 중 어떤 걸 준비하는 게 나을까요?
무조건 전기기사 입니다.
전기공사기사의 왠만한 업무는 전기기사가 cover 가능합니다.
법적으로 그렇게 바뀌었거든요 ^^*
전기기사는 전기공사 기술자도 가능하고 공사업 등록도 가능하고 감리원 자격도 가능합니다.
게다가 전기기사 만 할수 있는 전기안전관리자 선임 이 있죠..
전기공사기사만이 할 수 있는게 하나 있습니다. 옥외 광고사업 법(대표적으로 도심에 전광판) 관련인데 큰 메리트가 보이시는지요..
막말로 전기공사기사는 공기업(한전류) 취업시 점수 따는 용으로 이외에는 거의 쓰일 일이 없답니다.
제가 보기에 대한 `전기협회`와 `한국전기공사협회` 간 세력 싸움용인가 싶기도 하지만 전기법상 전기기사로 거의 모든게 cover 되고 있습니다.
(원래 전기공사기사가 생길 무렵 이 자격증 곧 없어진다는 말도 나왔지만 이상하게 아직까지 유지가 되고 있는게 혹시나 먼 훗날 공사 관련 메리트가 생길수 있는건가 라는 생각도 들기는 합니다.)
때문에 전기기사만 취득하시더라도 충분하다고 말씀드리겠습니다.
그래도 쌍기사 따고 싶으시다면 무조건 전기기사를 취득하고 필기에서 과목면제 혜택 받으시고 전기공사기사 취득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전기기사만 취득하면 전기공사기사는 3개월 안으로 가능합니다.^^*
P.S 혹시나 비전공자기준 전기기사 공부하는 팁이오니 참조바랍니다.^^*
일단 필기 1회독 하는 순서로 회로이론 - 제어공학 - 전력공학 - KEC법규 - 전자기학 - 전기기기 순으로 추천 드립니다.
회로이론은 1회독하기 까다롭게 느끼실수 있겠지만 전기의 기본입니다. 꼭 참고 들으시고 제어공학은 기출문제가 상당히 쉽습니다.
그냥 11문제 중에 8-9개는 맞고 들어가는 과목이라고 보시면 되어서 회로이론에 대한 과락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켜주는 과목이 될겁니다.
그 다음으로 전기의 꽃인 전력공학 인데 이 과목을 앞에 배치한 이유는 일단 공부하기 재미있습니다.
그리고 필기시험에서 계산문제가 별로 나오지 않습니다.
하지만 실기를 한번에 붙기 위해서는 전력공학 계산문제는 하나도 놓치지말고 공부하셔야 합니다. 정말 씹어 먹을정도로 하시는걸 추천 드립니다.
그 다음 KEC 법규로 암기과목인데 정리하기 상대적으로 어렵지 않을것이고 마지막으로 제일 공부하기 XX 같은것이 전자기학, 전기기기 2과목입니다.
이들과목은 기사 필기에서 과락률이 제일 큰 과목들입니다.
전자기학은 결국 공식입니다. 인강은 이 공식을 위한 유도과정일뿐 더도 덜도 없답니다. 때문에 결국 공식암기를 통한 문제풀이가 중점인거죠..
오히려 전자기학이 공부하다보면 효자과목이랍니다. ^^*
전기기기는 이론을 2번 이상 꼭 들으시고 기출문제를 반복하시는게 최선입니다.
이론만 보다보면 답이 안나오는 과목입니다. 꼭 문제를 통해 이론을 정립하셔야 합니다.
2022년 꼭 전기기사 취득하시기를 바랍니다.
전기기사가 어려울꺼같아서 전기공사기사를 하는것은 비추입니다
무조건 전기기사 도전하시고
공기업 도전하시면 전기기사따고 공사기사까지 준비하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