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인에는 진짜 똑똑한 분들이 많은거 같아요.
질문과 별개지만 열심히 하는 모습 자극받고 갑니다
(1) 넘버링 더미와 로지컬 더미 구분
넘버링 더미: 형식적인 더미(실질적인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 기본규칙에 맞춰려고 사용하는 더미)
로지컬 더미: p500 (논리적인 실질적인 더미)
(2) 여유시간
형식적인 시간이 아닌 실질적인 시간으로 계산
교과서 526페이지 문제 17번 처럼 이벤트 순서 중복을 피하기 위해 넣는 경우는 수업시간 처럼 이벤트 번호 4번에 있는 종료시간,개시시각 등에서 계산 해주면 되는 거죠?
: 문제 17번은 넘버링더미이기에 여유시간계산은
예) 작업B, 작업C: 결합점 2, 결합점3에서 계산하지 않고 결합점4에서 계산
작업E, 작업F: 결합점 5, 결합점 6에서 계산하지 않고 결합점7에서 계산
(3) 경험적 이해
문제 017(P526) " 넘버링더미" 와 문제01(P520)"논리적더미" 비교
1) 문제017은 작업D, E, F가 선행작업 A,B,C를 모두 품고 한 곳에 모여 흩어짐
: 3개의 작업이 100% 한 곳에 모였다가 흩어진다. 이때 더미: 넘버링더미
2) 문제011은 작업E만 선행작업A,B,C를 품었지만 작업D, 작업F은 포함하지 않았다.
: 3개의 작업이 100% 한 곳에 모이지 않았다. 이때 더미: 논리적 더미
* 넘버링더미와 로지컬더미
간단할 경우에는 문제가 쉽지만, 복잡해지면 문제가 쉽지 않는 이해도가 높은 수준입니다.
차분히 이해해 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