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전문대 전기과를 졸업하자마자 산업기사를 취득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경력을 추가로 쌓으면 전기기사 응시자격이 됩니다.
산업기사와 전기기사는 문제의 난이도만 틀릴뿐 공부하는것은 똑같습니다
수학을 모르더라도 계산기가 다해주기때문에 적용하는것만 알면 됩니다^^*
모르더라도 일단 시작하세요.. 알고 하는사람 거의 없습니다.
하다보면 본인 나름대로 답을 찾게 된답니다
4년제 전기 전공으로 졸업을 한다면 전기기능사 응시하지 않아도 전기기사를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이 됩니다
지금부터 진로를 전기쪽으로 생각하신다면 4년제 전기과 입학을 하시는 게 더 좋은 방법인 것 같습니다.
4년제 전기 전공으로 졸업을 한다면 전기기능사 응시하지 않아도 전기기사를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이 됩니다.
전기를 몰라도 전기기사 응시할 때 공부하면 되구요~!
지금도 전문대 전기과 생각한다면
전문대 졸업 후 전기산업기사 취득하여 실무경력을 추가로 쌓아야
전기기사 응시가 가능하기 때문에
차라리 전기기사 응시를 한 번에 할 수 있는 4년제 전기과 진학을 추천드립니다.
전기기능사는 필기시험 합격 후 실기시험(실습형)에 응시해야 하는데요
지금은 전기기능사 준비에 힘 쓰는 것도 좋지만 4년제 진학을 목표로 공부하시는 게 더 효과적일 것 같습니다.
궁극적으로 전기기사를 공부한다고 하더라도 기본적인 수학 연산과 삼각함수를 알아야 하기 때문에
지금 학교에서 공부하실 때 이 부분 참고하셔서 수학에 좀 더 관심을 가져보세요~!!
안녕하세요!
고등학생이신데 벌써부터 목표가 있고 너무 멋있으세여!
그런데 아쉽게도 전기기사의 경우에는 응시자격이 있습니다.
산업기사는 2,3년제 관련학과 전공,
기사는 4년제 관련학과 전공을 하셔야 돼요!
전문대 전기과를 가시게 되면 산업기사를 취득하실 수 있고, 추후에 경력을 쌓아서 기사시험에 응시하시면 됩니다!
기능사는 응시자격이 없어 초등학생도 볼 수 있는 시험이에요!
기능사도 마찬가지로 취득 후 경력 쌓으시면 산업기사, 기사 취득도 가능하십니다 :)
음..일단 전문대보다는 4년제 가는게 좋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