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전기기사, 소방전기기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8월 10일 공조냉동기계기사 발표를 앞두고 있습니다.
산업안전기사를 공부중인데, 난이도는 어렵진 않으나, 외울게 많네요...
필기는 어찌어찌 될거 같긴한데, 실기 준비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필기를 하면서 실기까지 겸사겸사 준비하면 좋을텐데, 시간 절약방법에 대해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산안기는 무조건 암기 입니다 기출문제 위주로 공부하시면서 암기만 하세요
안녕하세요.
저는 산안기, 건안기 취득자입니다.
벌써 산업안전기사 시험의 특징(난이도는 어렵지 않으나 외울 것이 많다.)을 명확히 파악하고 계시네요.ㅎㅎ
몇 개 기사 자격증을 취득하셨으니 산안기 필기는 어렵지 않게 합격하실 것 같습니다.
질문주신 실기 준비 위주로 간단히 말씀드리겠습니다.
산안기 실기는 필답형 시험과 작업형 시험으로 구분됩니다.
필답형 시험은 대략 13문항 정도가 출제되고 문제에 따른 답을 주관식으로 쓰는 문제입니다.
필답형 시험은 대부분 법에 있는 규정을 그대로 외워서 써야 하는 문제가 많습니다.
예를 들면 문제가 다음과 같습니다.
문) 산업안전보건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안전관리자의 업무를 4가지 쓰시오.
답)
1) 위험성평가의 실시에 관한 보좌 및 조언 지도
2) 해당 사업장의 안전보건교육계획의 수립
3) 사업장 순회점검
4) 업무수행 기록의 유지 및 관리
이런 식의 문제가 대부분입니다.
이게 대부분 법에 나와 있는 규정을 묻는 문제이기 때문에 개인의 생각대로 답을 쓰면 안 되고, 법에 나온 규정을 최대한 비슷하게 외워서 써야 감점을 당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암기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산업안전기사를 산업암기기사라고 합니다.ㅎ
작업형은 대략 9문항 정도 출제되며, 개인 PC에 문제와 영상이 나옵니다. 그 문제와 영상을 보고 답을 답지에 써서 제출하는 형식입니다.
예를 들면 문제가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문) 다음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하기 위한 방법을 3가지 쓰시오.
영상) 한 작업자가 송기마스크 등과 같은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고, 밀폐된 공간(맨홀) 같은 곳에 들어감. 다른 작업자는 맨홀 밖에서 담배를 피며 잡담을 하고 있음. 일정시간이 지난 후 이상함을 느낀 맨몰 밖에 있는 작업자가 맨홀 안에 들어가 보니 작업자가 질식해서 쓰러져 있음
답)
1) 밀폐공간에서 작업을 할 때에는 작업자에게 송기마스크를 착용시킨다.
2) 관리감독자의 입회 하에 밀폐공간 작업을 한다.
3) 밀폐공간에서 작업하기 전 작업장의 산소농도를 측정한다.
작업형 시험의 경우 실제 현장에서 안전관리자로 해야 할 일을 묻기 때문에 현장에서 실무를 담당하는 안전관리자는 공부를 하지 않고도 고득점을 맞기도 합니다. 하지만 현장 경험이 없는 학생이나 취준생들은 작업형 공부에 헤메기도 합니다.
하지만 작업형 문제 중 필답형 처럼 법 규정을 묻는 문제도 많습니다. 이런 문제는 그냥 필답형 처럼 법을 외워서 답을 쓰면 됩니다.
결국 산안기 실기에서 가장 중요한 능력은 `암기력`입니다.
그냥 나는 인간 복사기다 생각하시고, 필답형 10개년 이상, 작업형 7개년 이상 답을 달달 외우면 합격입니다.
필답형은 법 규정을 묻는 문제가 많으니 최대한 책의 답을 비슷하게 외우시면 되고, 작업형은 너무 답을 그대로 외우기 보다는 위험상황을 이해하고 이러한 상황에는 이러한 조치가 필요하구나를 생각하며 외우시면 됩니다.
많은 사람들이 산업안전기사가 기사 중에서 쉬운 편이라고 합니다. 물론 기사 중에서 쉬운 편인것은 맞지만 산안기 실기는 외울 것이 너무 많아서 공부하기 정말 힘든 시험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반대로 외우기만 하면 실기를 한달 정도만 준비해도 합격할 수 있기도 합니다.
산안기 실기를 준비하신다면 공부기간을 너무 길게 잡기 보다는 한달 정도로 짧고 굵게 준비하셔서 한번에 합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슬아슬하게 공부해서 떨어지시고, 실기시험을 또 볼려면 현타가 옵니다.ㅎ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