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과목별(?) 학습전략??
2021.07.05 scv*** 조회 2,504

정보처리기사 따고 싶은데요,,,, 과목이 생각보다 많네요?ㅠㅠ


자격증 따신 선배님들, 미리 경험하신 분들

혹시 과목별로 학습 전략이나 공부 방법이 있을까요?

댓글 /1000
하수
당신의 지식을 나누어 주세요!
답변하시면 내공 10점을, 답변이 채택되면 내공 20점을 드립니다.
답변 5개
하늘바라밀님의 답변입니다.
고수 채택 2 2022-01-28 21:55

공부방법은 이곳에서 많이 찾을 수 있을 거에요.

기사_준님의 답변입니다.
채택 497 2021-10-04 09:42

과목 순서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하루에 꾸준히 반복해서 기출 문제 많이 푸는게 중요합니다

비공개님의 답변입니다.
중수 채택 171 2021-09-17 21:32

안녕하세요


과목 순서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하루에 꾸준히 반복해서 기출 문제 많이 푸는게 중요합니다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랄게요!

쿠키크님의 답변입니다.
지존 채택 239 2021-09-10 17:38

그냥 무조건 하면 됩니다

cho******님의 답변입니다.
평민 채택 1 2021-07-05 19:24

개정 후 첫 시험인 2020년 1·2차 문제를 보면 개정 전 유형 80% 신유형 20%정도로 섞여 출제되었습니다.


아직은 조정기간이라 구유형이 좀 더 많이 나오는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시간이 지나면 신유형의 출제 비중이 점차 높아질 듯 합니다.


- 소프트웨어 설계 / 소프트웨어 개발 : NCS 기준으로 출제 기준이 개정되면서 소프트웨어 공학의 비중이 높아졌습니다. 다소 지엽적인 문제가 출제되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신유형 비중도 높은 편이라 암기사항을 잘 정리해야 합니다.


- 데이터베이스 구축 : 예전 정보처리기사 시험 범위와 겹치는 과목으로 SQL, DB 관련 문제들이 주로 출제 됩니다. 실기까지 생각하면 SQL에서 쓰이는 문장들을 이해하고 응용해야 하기 때문에 어렵게 느껴질 수 있으나, 개정 이후 다소 쉽게 출제된 편입니다.


-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프로그래밍 언어보다는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에 대한 문제가 많이 출제 되었습니다. 프로그래밍 외에도 운영체제, TCP/IP, OSI 7계층 등 네트워크 관련 개념이 많이 출제 됩니다. 앞으로도 IT 신기술 관련된 문제가 출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 : 소프트웨어 공학 비중이 높습니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암호나 네트워크 공정 보호 등 보안 이슈와 연계된 문제가 강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