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수검지장치가 영어로 알람밸브라고 하기에는 알맞지 않고, 폐쇄형 헤드를 사용하는 밸브들에 붙이는 단어입니다. 유수검지장치는 밸브라고 하는 것이 알맞고, 알람밸브를 붙이려면 습식에 붙이는게 알맞습니다.
프리액션밸브는 동파의 우려가 있는 곳에 설치되는 것으로, 주차장이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1차측까지는 물이 차있고, 2차측에는 공기만 차 있어서, 교차회로의 감지기가 전부 동작할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가 동작하면서 1차측에 있는 물이 2차측까지 올라가 해당 밸브에 연결된 배관을 통해 물이 공급되어 화재로 인해 헤드의 유리밸브가 녹으면 그 헤드로 물이 분출되며 소화작업이 됩니다.
알람밸브는 사람이 상주하는 곳에 설치된다보다는 프리액션과 반대로 동파의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하게 됩니다. 대부분이 사람이 생활하는 공간이 되며, 프리액션과 다르게 2차까지 충수가 되어서, 헤드의 유리밸브가 녹게 되면 곧바로 물이 분출되게 됩니다.
유수검지장치는 폐쇄형 헤드를 사용하는 곳에 설치하는 설비이며, 명칭은 다음과 같습니다. 습식유수검지장치, 건식유수검지장치, 준비작동식유수검지장치, 부압식=준비작동식유수검지장치 습식은 1차측과 2차측에 가압수가, 건식은 1차측은 가압수 2차측은 압축공기, 준비작동식은 1차측은 가압수 2차측은 대기압의 공기가 채워져 있으며, 강의 중에 설명드린 내용을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