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수 증가에따른 성질 변화중 착화점이 낮다는 의미 해설부탁합니다
2021.06.09 비공개 조회 2,066
안녕하세요 1) 탄소 수 증가에 따른 착화점이 낮다는 의미가 무슨뜻인지 설명부탁드립니다 교수님 해설에 의하면 불에타기 쉽지않다고 강의하셨는데 착화점이 낮아지면 낮은 온도에서 연소(발화)되기 쉽다는것이 아닌지요 2) 탄소 수증가에 따른 성질 변화준 발열량이 커진다의 의는 무슨뜻인 설명부탁드립니다
댓글 /1000
하수
당신의 지식을 나누어 주세요!
답변하시면 내공 10점을, 답변이 채택되면 내공 20점을 드립니다.
답변 4개
비공개님의 답변입니다.
초수 채택 20 2022-01-13 01:08

열량이 많이 지기때문입니다.

쿠키크님의 답변입니다.
지존 채택 239 2021-09-26 07:30

불에 타는 것과 연관지어서 이해하시면 안됩니다

기사_준님의 답변입니다.
채택 497 2021-09-14 20:35

탄소수가 많아지면, 발생되는 열량이 많아집니다.

 

비공개님의 답변입니다.
하수 채택 1 2021-06-09 14:52
1. 탄화수소의 일반적인 성질을 쉽게 이해 하려면 탄소 수가 증가할 수록 불에 잘 타기 쉽지 않다로 이해하면
   이해가 쉽다고 설명하였고, 모두가 그런 성질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착화점이 낮아지는 것은 탄화수소가 가지는 성질이므로, 불에 타는 것과 연관지어서 이해하시면 안됩니다.
2. 발열량이 커진다는 것은 탄소는 가연물이므로, 탄소수가 많아지면, 발생되는 열량이 많아집니다.